신호생성 repo (24. 1. 5 ~).
You can not select more than 25 topics Topics must start with a letter or number, can include dashes ('-') and can be up to 35 characters long.
 
 

3.2 KiB

유턴신호 부여 로직

입력 1. self.match5

  • 컬럼목록 : 노드id, 현시번호, 링타입, 이동류번호, 진입/진출방향, 진입/진출엣지id
  • 설명 : 부모교차로에 대한 매칭정보 match5

입력 2. self.uturn

  • 컬럼목록 : 부모노드id, 자식노드id, 진입방향, 조건, 진입/진출방향
  • 설명 : 유턴에 대한 정보
  • 여기에서 조건이란 "좌회전시" 또는 "보행신호시" 또는 ""(지정되지 않음) 중 하나임. uturn

출력 : self.match6

  • 컬럼목록 : self.match5와 같음
  • 설명 : 부모 및 자식교차로에 대한 매칭정보 (자식교차로 : 유턴교차로, 연등교차로) match6

유턴신호 부여 알고리즘

요약 :

각 유턴노드별로 self.match5에서 해당되는 행들을 가져오고 (이것을 cmatch라고 한다.) 조건별로 cmatch에서 해당되는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
상세:

각 유턴 노드에 대하여 cmatch를 다음과 같이 정한다.

  • (1) cmatch
    • (1-1) 부모노드의 self.match5에 해당하는 데이터프레임(cmatch)을 가져온다.
    • (1-2) node_id는 자식노드id로 부여하고, 진입/진출엣지id는 np.nan으로 초기화한다.
  • (2) 조건이 "좌회전시", "보행신호시"이면
    • (2-1) 그에 따라 진입/진출방향을 정한다. (8방위)
    • (2-2) cmatch에서 진입/진출방향에 대응되는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  • (3) 조건이 지정되지 않았거나, 조건이 지정되었어도 진입/진출방향에 대응되는 행이 존재하지 않으면 좌회전시 → 보행신호시 → 보행신호이동류발생시 → 신호없음이동류발생시 순으로 유턴신호를 정한다.
    • (3-1) 좌회전시

      3-1에 해당하지 않고 좌회전에 대응되는 진입/진출방향에 대한 행이 cmatch에 존재하면 해당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
    • (3-2) 보행신호시

      보행신호에 대응되는 진입/진출방향에 대한 행이 cmatch에 존재하면 해당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
    • (3-3) 보행신호이동류발생시

      3-1, 3-2에 해당하지 않고, 이동류번호가 17(보행신호이동류)인 행이 cmatch에 존재하며 유턴노드 방향으로 진출하는 신호가 없으면 해당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
    • (3-4) 신호없음이동류발생시

      3-1, 3-2, 3-3에 해당하지 않고, 이동류번호가 18(신호없음)인 행이 cmatch에 존재하며 유턴노드 방향으로 진출하는 신호가 없으면 해당 행에 진입/진출엣지id를 지정한다.

    • (3-5) 3-1 ~ 3-4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유턴신호를 g로 지정한다.

이후과정:

각 유턴노드에 대한 cmatch들을 리스트 형태로 저장한 후 pd.concat하여 합친다 (cmatches). 연동교차로에 대해서도 비슷한 종류의 테이블을 만들어둔다. (self.coord, 상세 생성과정 생략) self.match5, cmatches, self.coord를 pd.concat하여 self.match6를 만든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