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신호 이슈
|
|
|
|
다음의 셋을 비교
|
|
(1) 테이블 정의서 0.8.8
|
|
(2) 신호DB (SNMS)
|
|
(3) 동부ICT 프로토콜
|
|
|
|
A. (1) "교차로기반정보"의 '교차로유형' (주교차로/연등교차로)은 (2), (3)에 모두 정의되어 있다. 비슷한 맥락에서 (1)의 '주교차로번호'는 (2)에는 정의되어 있지만 (3)에는 정의되어 있지는 않다. 물론 내 입장에서 '교차로유형'과 '주교차로번호'가 있으면 좋긴 한데, 이것을 동부측이나 솔루션본부에 말한 적이 있던가?
|
|
B. (1)의 "시차제정보"는 없는 것이 맞다. 시차제에 관한 정보는 "교차로기반정보"의 '이동류화살표'에 포함되어 들어올 것이다. (2)의 용어로 하면 TL_IF_SIGL_FLOW에서 들어오게 된다.
|
|
C. (1)의 "신호이력"은 이상없다. (2)에 대응되는 테이블(TC_IF_SIGL_CYCL)이 있다. 다만 (2)의 TC_IF_SIGL은 사실상 쓰이지 않는 테이블이 될 것이다. (3)에서는 "교차로 주기정보"로 표현되어 있다.
|
|
D. (1)의 "현시구성"은 이상없다. (2)에 대응되는 테이블(TC_IF_TOD_RED_YELLO)이 있다. 다만, '이동류번호'는 사실상 쓰이지 않는 컬럼이 될 것이다. (3)에서는 "교차로 기반정보 구성"으로 표현되어 있다.
|
|
E. (1)의 일간/주간/특수일 신호계획은 이상없다. (2)와 (3)에 모두 적절한 컬럼이 들어가있다.
|